반응형
K-Means : https://needjarvis.tistory.com/719
K-means clustering Python으로 구현하기
K-means 자체에 대해서 아직 이해가 부족하신 분은 예전 포스팅에 자세히 적은 것이 있기 때문에 이전 포스팅을 먼저 보면 될 것 같으며 아래 링크를 확인하면 된다.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통한
needjarvis.tistory.com
- euclidean distance 를 사용해 군집 내에서 거리의 최소값을 도출하는 것이 특징
반응형
'IT >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와 강화학습을 결합한 로봇 경로 계획: Q-Learning, DQN, RRT, PRM의 역할" (1) | 2024.09.11 |
---|---|
"AI Bin Picking: 스마트 로봇이 만드는 혁신적 자동화 솔루션" (0) | 2024.09.10 |
TensorRT on Jetson Nano (0) | 2024.06.04 |
Jetson Nano + yolov8 (ultralytics) (0) | 2024.05.29 |
precision recall graph (0) | 2023.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