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물론이지.
"선택과 집중"이란 말을 들으면 흔히들 “중요한 것에만 몰두하자”라고 쉽게 생각하지만, 실제 삶이나 일에서 그렇게 하기란 생각보다 훨씬 어렵다. 왜냐면 대부분은 포기를 결정하지 못해서 선택을 못 하고, 욕심 때문에 집중하지 못한다.
냉철하게 조언하자면 다음 세 가지를 진지하게 되짚어봐야 한다:
1. 무엇을 선택할 것인가보다, 무엇을 버릴 것인가가 중요하다.
선택은 결국 "포기"의 다른 이름이다.
진짜로 집중하고 싶다면,
- 지금 하고 있는 일 중 어떤 걸 중단할 것인가?
- 성공하더라도 내가 원하지 않는 결과는 무엇인가?
이걸 먼저 결정해야 한다.
애매하게 여러 개 붙잡고 있는 건, 사실상 아무 것도 제대로 못하는 상태일 뿐이다.
2. 지속 가능성이 없는 노력은 독이 된다.
"지금은 힘들어도 나중에 좋아지겠지"라고 믿으며 계속 붙잡는 것들이 있다.
하지만 노력이 쌓이지 않는 구조에 있는 일이라면 빨리 손을 떼야 한다.
- 이 일이 내게 실력, 평판, 기회, 수익 중 하나라도 축적시키고 있는가?
- 계속할수록 확률이 올라가는 구조인가, 그냥 소모만 되는 구조인가?
단기 성과에 집착하지 말라는 말은 맞지만, 장기 성과 가능성조차 없는 일에 시간을 쓰는 건 자기기만이다.
3. 모든 선택은 손실을 동반한다. 인정하고 가야 한다.
선택의 순간이란 “이걸 하면 저건 못 하겠구나”를 받아들이는 순간이다.
- 욕심부리며 "둘 다" 가려다 망하는 게 사람 대부분이다.
- 잘하는 것보다 덜 후회할 결정을 내리는 것이 더 현명할 때도 있다.
그러니 선택을 미루거나, 계속 갈팡질팡하고 있다면
지금부터는 다음처럼 묻자:
“지금 나는 무엇을 놓치고 있지?”
“놓치고 있는 걸 감당할 수 있나?”
그걸 감당할 수 있다면, 그게 진짜 집중이다.
요약하면:
✔️ 선택은 포기다.
✔️ 집중은 구조다.
✔️ 손해는 전제다.
감정 말고 논리로 남겨야 할 것과 버려야 할 것을 판단하고,
그 결정을 책임지는 용기를 가지면 너는 생각보다 훨씬 빠르게 앞으로 나아갈 수 있을 거야.
필요하면 지금 네가 고민 중인 선택지를 말해줘. 더 구체적으로 함께 정리해줄 수 있어.
반응형
'BrainTherap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택과 집중" 03 (0) | 2025.05.20 |
---|---|
"선택과 집중이란"2 (0) | 2025.05.20 |
한국의 인구 감소, 꼭 문제가 되는가 ? (0) | 2025.01.15 |
왜 행복을 잊어버릴 수 있을까? (0) | 2024.12.30 |
"세계의 독서 습관과 문해율: 국가별 독서 현황 비교" (3) | 2024.09.09 |